티스토리 뷰

칼리 리눅스에 구글 크롬을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일단, 위와 같이 구글 크롬 설치 페이지에 접속한다. 리눅스에 설치하는 것이 맞으므로 파란색 "Chrome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한다. 






칼리 리눅스 이므로 64bit Debian/Ubuntu용에 체크한 후 "동의 및 설치" 버튼을 클릭한다.












Save File에 체크한 뒤 OK클릭





리눅스를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업그레이드 한다.

apt-get dist-upgrade 명령은 의존성을 검사하며 업그레이드 하는 명령이다.



Downloads 폴더로 이동하면

위에서 설치한 구글 크롬의 deb파일이 존재한다.




일단 apt-get -f install 을 입력해서 의존성 파일들을 강제로 설치해 둔다.

-f는 망가진 의존성 패키지가 있는 시스템을 즉시 정정하는 옵션이다.






위와 같이 입력해서 크롬을 설치한다.


dpkg는 데비안 패키지 관리 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소프트웨어로, dpkg 명령어가 .deb 패키지의 설치, 삭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된다.


-i는 (install)설치 옵션이다.






그러나 google-chrome 을 입력했을때 실행되지 않는다.

크롬은 root사용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에서만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 사용자를 추가해서 크롬을 실행할 수 있도록하자.






위와 같이 입력해서 "khe0616" 이라는 계정을 만든다. 실행 쉘을 크롬으로 지정해준다.


-m 옵션 : 사용자 홈 디렉터리 생성

-s 옵션 : 새 계정의 로그인 쉘(실행 쉘) 지정






위와 같이 입력해서 패스워드도 설정해준다.










하지만 su khe0616 을 입력해도 실행이 안된다.

root의 화면에 일반 사용자로 창을 띄울 권한이 없기 때문이다.


su는 다른 사용자의 권한으로 쉘을 실행할 때 사용된다.


su khe0616을 입력한 경우, 사용자 khe0616의 권한으로 쉘(크롬) 이 실행 되어야 한다.






터미널에서 xhost를 입력하면 xhost 권한을 갖고 있는 사용자가 나타난다.

현재는 root만 xhost 권한을 갖고 있다.


위와 같이 입력해서 일반 사용자 khe0616도 xhost권한을 갖도록 하였다.






다시 xhost를 입력해보면 root와 khe0616이 xhost 권한을 갖고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su khe0616 을 입력하면







크롬이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하지만 일반계정은 재부팅시 xhost목록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root/.bashrc 에

xhost SI:localuser:khe0616 를 추가해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입력해주면



vi /root/.bashrc 를 실행했을때, 맨 밑에 xhost SI:localuser:khe0616 이 추가되어 있다.




아니면,

vi /root/.bashrc 를 실행한 후, 맨 밑에 직접 xhost SI:localuser:khe0616 을 입력해 주어도 된다.









이제 재부팅을 해도 su khe0616 을 입력했을때 구글 크롬이 실행된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