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칼리 리눅스를 설치하고 웹 브라우저에 들어가보면 한글이 꺠져서 나오고 입력되지도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한글화 작업을 소개하려고한다.







라이브러리를 설치한다.






한글 입력기를 설치한다.






한글 폰트(나눔)을 설치한다.

설치가 잘 안되는 경우가 있으니 * 붙인거랑 안붙인거 둘다 설치하도록 한다.


여기까지 하면 한글이 깨지지 않는다.

이제 한글의 입력이 가능해도록 설정해보자







이와 같이 입력하면 입력기 설정으로 들어가게 된다.






OK



Yes






fcitx를 체크하고 OK





OK






이와 같이 입력하여 fcitx 설정을 실행시킨다.






Input Method탭에서 왼쪽 밑에 있는 +단추를 클릭한다.






Only Show Current Language를 체크 해제하고 Hangul을 검색하면 위와 같이 검색된다. OK를 눌러 추가해준다.





이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하지만 한/영 키가 작동되지 않는다. 작동되도록 설정해보자








fcitx설정으로 들어간다.






Global Config 탭으로 이동한 뒤 빨간색 밑줄친 부분을 클릭한다.







이와 같은 화면에서 한/영 키를 눌러준다.






이제 한영키가 작동된다.




한자 키도 설명하겠다.


fcitx 설정으로 들어간다.





Addon 탭으로 이동한 뒤


Hangul

Hangul Wrapper For Fcitx

를 클릭 하고, Configure 단추를 클릭한다.







이와 같은 창이 뜨는데, 빨간색 밑줄 친 부분을 클릭한 뒤 한자 키를 눌러주면 된다.

그러나 나는 노트북을 사용중이라 키보드개수가 적어서 그런지 한자키를 눌러도 아무 반응이 없었다.

그래서 Xmodmap을 이용하였다.



한자 키의 코드를 확인하기 위해 xev 를 입력한다.




한자 키의 코드는 105이다.





다시 터미널로 돌아온다.

홈 디렉터리에 .Xmodmap 이라는 파일을 gedit 편집기로 실행한다.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다시 터미널로 돌아와서

xmodmap ~/.Xmodmap

을 입력해서 아까 gedit에서 입력했던 명령어를 실행시킨다.




xmodmap을 입력해보자

한자 키를 누르면 한자입력이 가능하도록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단, 재부팅을 하게 되면 위에서 한자키 설정해준 것이 초기화 되버린다.

다시 이와 같이 입력하여야 한자키 설정이 적용된다.



재부팅 할때마다 이를 입력해주기 번거롭기 때문에 재부팅 하더라도 한자키 설정이 적용되도록 하는 방법을 인터넷에서 찾아서 해봤는데 잘 되지 않았다.


일단 F9를 이용해서 한자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나중에 방법을 찾게되면 다시 소개하겠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